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예를 들어 가정 내 네트워크라고 하면 PC나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이 접속되는 정도입니다. 하나의 클라우드에 그 정도 소규모 가정 네트워크를 가르키기도 합니다. 또한, 기업별 네트워크라면 부서별로 네트워크를 나누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나의 클라우드 아이콘이 몇십 대나 되는 PC가 접속된 부서별 네트워크를 나타낼 때도 있고, 부서별 네트워크가 많이 모인 기업 네트워크 전체를 나타낼 때도 있습니다. 이 경우, PC나 서버등의 기기는 수백 ~ 수천 대가 될 것입니다.
더욱이 인터넷은 전 세계의 다양한 조직의 네트워크가 서로 접속된 굉장히 거대한 네트워크 입니다. 하나의 클라우드가 인터넷 전체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접속된 기기는 몇십 억대)
이모지로 네트워크를 표현 -> 💻 - 레이어2스위치 - 라우터 - 레이어2 스위치 - 💻
네트워크 기기를 케이블로 연결해 네트워크를 구성 합니다 (레이어2스위치, 라우터)
구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추상화하여 구름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 - ☁ - 💻
2.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네트워크 기기로는 주로 다음 세가지가 있습니다.
라우터
레이어2 스위치
레이어3 스위치
이 네트워크 기기들은 모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데이터 전송 처리는 주로 다음 세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데이터수신 :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원래 디지털 신호 (0,1)로 되돌린다.
(2)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 : 데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할 곳을 결정한다.
(3)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내보낸다. 필요하면 제어 정보를 고쳐쓴다.
네트워크 기기의 차이는 두 번째 단계에 있습니다. 데이터에는 다양한 제어 정보가 부가되는데,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 메커니즘에서는 어느 제어 정보를 참조해서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하는 지가 중요합니다. 각 네트워크 기기의 자세한 동작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6장에서 다시 설명합니다.
3.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기기 끼리나 PC, 서버 등을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기기에는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져 있습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이더넷 인터페이스 입니다.
인터페이스는 종종 포트라고도 불리는데, 인터페이스나 포트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포트나 LAN 포트라고도 불립니다.
전송 매체와 링크
각 기기에 달린 인터페이스끼리 연결(링크)합니다. 인터페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전송메체라고 합니다. 데이터를 변환한 전기신호 등 물리적인 신호가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되어 갑니다. 전송 매체는 유선일 때도 있지만, 무선 전파일 수도 있습니다. Wi-Fi처럼 전송 매체가 무선일 경우엔 인터페이스도 링크도 보이지 않지만 무선을 지원하는 기기와 연결되는 무선 링크도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전송 매체로 연결해 링크를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가 형성됩니다.
인터페이스는 무엇의 경계일까 ?
인터페이스는 경계라는 의미인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0', '1'의 디지털 데이터와 전기신호와 같은 물리적 신호의 경계입니다. PC와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 기기가 다루는 '0'과 '1'의 디지털 데이터는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되어 인터페이스에서 송출되고 링크로 전달되어 갑니다.
4. 네트워크를 만든다.
LAN의 주요 기술
사내 네트워크나 개인 사용자의 가정내 네트워크 등을 구성하는 LAN은 우리의 일상과 매우 친숙해졌습니다. 1장에서 설명했듯이, LAN은 사용자가 직접 만드는 네트워크입니다. 현재, LAN을 구축하는 주요기술은 이더넷과 무선 LAN입니다.
그 밖에 토큰링크 FDDI 등도 이용 됐지만, 현재는 이 둘을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LAN의 구축
사용자가 LAN을 직접 구축하려면,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있는 라우터와 레이어2, 레이어3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준비해야합니다. (가정용 기기는 라우터, 레이어2 스위치,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가 1대의 기기에 내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준비된 기기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LAN 케이블로 연결해 가면, 기기 사이에 링크가 구성되고 LAN이 만들어집니다.(유선 LAN) 무선 LAN을 이용하려면, 네트워크 기기인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LAN 인터페이스가 있는 PC나 스마트폰을 준비합니다. 노트북 PC나 스마트폰은 대부분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에 필요한 설정을 하면, 무선 LAN의 링크가 완성됩니다. 무선 LAN 만으로 통신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LAN과 유선 LAN을 연결합니다.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
1. 네트워크의 규모는 각각 다르다
네트워크라고 해도 규모는 제 각각
같은 클라우드라고 해도 앞뒤 문맥에 따라 네트워크의 규모가 다르니 주의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가정 내 네트워크라고 하면 PC나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이 접속되는 정도입니다. 하나의 클라우드에 그 정도 소규모 가정 네트워크를 가르키기도 합니다. 또한, 기업별 네트워크라면 부서별로 네트워크를 나누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나의 클라우드 아이콘이 몇십 대나 되는 PC가 접속된 부서별 네트워크를 나타낼 때도 있고, 부서별 네트워크가 많이 모인 기업 네트워크 전체를 나타낼 때도 있습니다. 이 경우, PC나 서버등의 기기는 수백 ~ 수천 대가 될 것입니다.
더욱이 인터넷은 전 세계의 다양한 조직의 네트워크가 서로 접속된 굉장히 거대한 네트워크 입니다. 하나의 클라우드가 인터넷 전체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접속된 기기는 몇십 억대)
이모지로 네트워크를 표현 -> 💻 - 레이어2스위치 - 라우터 - 레이어2 스위치 - 💻
네트워크 기기를 케이블로 연결해 네트워크를 구성 합니다 (레이어2스위치, 라우터)
구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추상화하여 구름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 - ☁ - 💻
2.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네트워크 기기로는 주로 다음 세가지가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 기기들은 모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데이터 전송 처리는 주로 다음 세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데이터수신 :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원래 디지털 신호 (0,1)로 되돌린다.
(2)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 : 데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할 곳을 결정한다.
(3)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내보낸다. 필요하면 제어 정보를 고쳐쓴다.
네트워크 기기의 차이는 두 번째 단계에 있습니다. 데이터에는 다양한 제어 정보가 부가되는데,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 메커니즘에서는 어느 제어 정보를 참조해서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하는 지가 중요합니다. 각 네트워크 기기의 자세한 동작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6장에서 다시 설명합니다.
3.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기기 끼리나 PC, 서버 등을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기기에는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져 있습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이더넷 인터페이스 입니다.
인터페이스는 종종 포트라고도 불리는데, 인터페이스나 포트를 같은 의미라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포트나 LAN 포트라고도 불립니다.
전송 매체와 링크
각 기기에 달린 인터페이스끼리 연결(링크)합니다. 인터페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전송메체라고 합니다. 데이터를 변환한 전기신호 등 물리적인 신호가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되어 갑니다. 전송 매체는 유선일 때도 있지만, 무선 전파일 수도 있습니다. Wi-Fi처럼 전송 매체가 무선일 경우엔 인터페이스도 링크도 보이지 않지만 무선을 지원하는 기기와 연결되는 무선 링크도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전송 매체로 연결해 링크를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가 형성됩니다.
인터페이스는 무엇의 경계일까 ?
인터페이스는 경계라는 의미인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0', '1'의 디지털 데이터와 전기신호와 같은 물리적 신호의 경계입니다. PC와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 기기가 다루는 '0'과 '1'의 디지털 데이터는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되어 인터페이스에서 송출되고 링크로 전달되어 갑니다.
4. 네트워크를 만든다.
LAN의 주요 기술
사내 네트워크나 개인 사용자의 가정내 네트워크 등을 구성하는 LAN은 우리의 일상과 매우 친숙해졌습니다. 1장에서 설명했듯이, LAN은 사용자가 직접 만드는 네트워크입니다. 현재, LAN을 구축하는 주요기술은 이더넷과 무선 LAN입니다.
그 밖에 토큰링크 FDDI 등도 이용 됐지만, 현재는 이 둘을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LAN의 구축
사용자가 LAN을 직접 구축하려면,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있는 라우터와 레이어2, 레이어3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준비해야합니다. (가정용 기기는 라우터, 레이어2 스위치,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가 1대의 기기에 내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준비된 기기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LAN 케이블로 연결해 가면, 기기 사이에 링크가 구성되고 LAN이 만들어집니다.(유선 LAN) 무선 LAN을 이용하려면, 네트워크 기기인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LAN 인터페이스가 있는 PC나 스마트폰을 준비합니다. 노트북 PC나 스마트폰은 대부분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에 필요한 설정을 하면, 무선 LAN의 링크가 완성됩니다. 무선 LAN 만으로 통신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 LAN과 유선 LAN을 연결합니다.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