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75 lines (46 loc) · 3.38 KB

2020-04-12-layer.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75 lines (46 loc) · 3.38 KB

Spring 서비스 구조

image-20200412132447872

Spring Architecture

Controller

Client의 요청을 받아 Requestmapping을 수행하고, 응답을 전달한다.

  • 해당 요청 url에 따라 적절한 view와 mapping

  • @Autowired Service 를 통해 service의 method를 이용한다.

  • 적절한 DTO(ResponseEntity)를 Client에 반환한다.

  • @Controller : API와 View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view를 return해주는게 주 목적)

  • @ResponseBody : API 서비스로 사용하는 경우

    • 메소드에서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Spring은 반환 값을 변환하여 HTTP Response 에 자동으로 씁니다. Controller 클래스의 각 메소드에는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이 있어야한다.
  • @RestController : @Controller + @ResponseBody

    • Method마다 @ResponseBody를 붙여주지 않아도 된다.
    • HTTP ResponseBody에 직접 쓰여짐
    • data(json, xml) return이 주목적이다.
  • @Controller 는 View Page를 반환하지만, @RestController는 객체(VO,DTO)를 반환하기만 하면, 객체데이터는 application/json 형식의 HTTP ResponseBody에 직접 작성되게 된다.

Service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 @Autowired Repository 를 통해 repository의 method를 이용
  • @Service

DAO(Repository)

실제로 DB에 접근하는 객체로, Service와 DB를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을 한다.

  • SQL을 사용해 적절한 CRUD API를 제공한다.
    • JPA 대부분 기본적인 CRUD method 제공
  • @Repository
    • JPA를 사용하는 경우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DTO

  •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Java Beans)이다.
    • DB에서 데이터를 얻어 Service나 Controller등으로 보낼 때 사용하는 객체이다.
    • 로직을 갖고 있지 않은 순수한 데이터 객체이며, getter/setter 메서드만을 갖는다.
  • Request와 Response용 DTO는 View를 위한 클래스
    • 자주 변경이 필요하다
    • ModelMapper를 통해서 DTO에서 필요한 부분을 이용해 Entity로 만든다.
    • 또한 Controller Layer에서 Response DTO로 Client에 전달한다.

Domain(Entity)

실제로 데이터베이스 물리 테이블과 1:1 매핑되어 바인딩 되어있다.

Entity와 DTO를 분리하는 이유?

  • View Layer와 DB Layer 역할을 철저하게 분리하기 위해서
  • 테이블과 매핑되는 Entity 클래스가 변경되면 여러 클래스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반면 View와 통신하는 DTO 클래스(Request / Response 클래스)는 자주 변경되므로 분리
  • 즉 DTO는 Domain Model을 복사한 형태로, 다양한 Presentation Logic을 추가한 정도로 사용하며 Domain Model 객체는 Persistent만을 위해서 사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