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앤드 개발
최종 프로덕트 용 브랜치(배포용), 최대한 완벽한 것만 올리는 브랜치로 2주 간격으로 올릴 예정
개발자가 자유롭게 개발하는 브랜치(테스트), 실직적으로 개인이 개발한 후 Push후 Pull Requests 하는 공간
💡 main 브랜치는 함부로 접근 및 Push 할 수 없고 PR할 경우 2명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develop 브랜치는 PR할 경우 2명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개인 브랜치에서 작업 하고 해당 담당자가 PR
-
상단 Pull requests 누르기
-
New pull requests 누르기
-
base: develop ← compare: 내 브랜치로 설정하고 Create pull requests 누르기
-
Write 작성하기
-
코드 리뷰 받기
- 문제가 있다면 해당 코드에 메세지 남기거나 연락하기. 문제가 없다면 코드 리뷰 하는 사람이 approve누르기
- 코드 리뷰 하는 사람이 Finish your review를 눌러 해당하는 사항 누르기
- 수정할 것이 있다면 수정 된 파일을 개인 브랜치에 다시 올리기(코드가 바뀌면 complain 메세지가 사라짐)
- 코드 작성자가 Merge pull request를 누르기
- commit은 기능 단위로 짧게 끊어서 commit한다. 만약 여러 작업(기능 추가, 디버그 등)을 했다면 한꺼번에 add를 하지 말고 같은 작업 파일을 묶어서 add를 한 후 commit하기
- PR까지 완료한 후 팀원에게 pull하라고 알리기
- 문제가 생기면 혼자서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반드시 팀원에게 알리기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기존의 기능을 요구 사항에 맞추어 수정
- fix : 기능에 대한 버그 수정
- build : 빌드 관련 수정
- chore : 패키지 매니저 수정, 그 외 기타 수정 ex) .gitignore
- ci : CI 관련 설정 수정
- docs : 문서(주석) 수정
- style : 코드 스타일, 포맷팅에 대한 수정
- refactor : 기능의 변화가 아닌 코드 리팩터링 ex) 변수 이름 변경
- test : 테스트 코드 추가/수정
- release : 버전 릴리즈
- 이슈 생성
- 로컬에서 기능에 대한 브랜치 생성 ex) 브랜치 이름 : feature/(기능이름)
git branch 브랜치이름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git push --set-upstream origin 브랜치이름 //원격에 로컬 브랜치에 해당하는 브랜치 생성 후 연결
- 해당 이슈 들어가서 development 톱니바퀴 클릭
- 리포 선택 → 브랜치 선택
- 완료
- DB는 ' _ ' 작성
- 개발은 대문자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