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튜토리얼 (KR)
< 느린 진동, 낮은 주파수, 낮은 음 >
< 빠른 진동, 높은 주파수, 높은 음 >
인간은 고막을 통해 공기의 진동을 인식하여 소리를 듣습니다. 소리의 높낮이는 진동의 속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주파수가 낮을수록(진동이 느릴수록) 음이 낮아지고, 주파수가 높을수록(진동이 빠를수록) 음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입니다.
인터넷에서 유명해진 위 사진은 각 악기가 어떤 주파수 영역대에서 소리를 내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간의 가청주파수는 20Hz부터 20kHz(20000Hz) 사이로, 해당 영역을 나누어 저음, 중음, 고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파수 영역을 어떻게 나눠서 음역대를 구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개인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대략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Hz ~ 80Hz : 극저음
- 80Hz ~ 200Hz : 저음
- 200Hz ~ 800Hz : 중저음
- 800Hz ~ 1.5kHz : 중음
- 1.5kHz ~ 5kHz : 중고음
- 5kHz ~ 10kHz : 고음
- 10kHz+ : 초고음
'eqTrainer'는 JBL, AKG를 비롯한 수많은 브랜드를 소유한 하만 인터내셔널 사의 청음 능력 훈련 프로그램, 'How To Listen'으로부터 큰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eqTrainer'는 'How To Listen'이 제공하는 훈련 기능들 중, 'Band Identification' 기능을 제공합니다.
'Band Identification'에서 사용자는 무작위로 변조된 음원과, 변조되지 않은 원음을 번갈아 청취한 뒤, 어느 주파수 영역이 어떻게 변조되었는지 판별해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eqTrainer'에는 오디오 편집기를 포함한 플레이리스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플레이리스트 화면 오른쪽 하단의 + 버튼을 누르면 음원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eqTrainer'가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오디오는 mp3, wav, flac 포맷인데, 해당 포맷이 아닌 파일이 선택된 경우 flac 포맷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음원이 불러와지고 나면, 위와 같은 에디터 화면에 진입하게 됩니다.
음원의 일부분을 잘라내려면, 슬라이더를 옮긴 뒤 '지금 시작 지점 설정' 또는 '지금 종료 시점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이렇게 해서 훈련 중 사용할 음원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른 '오디오 클립'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은 화살표 및 시간으로 표시됩니다. 작업이 끝난 뒤 '완료' 버튼을 누르면 '오디오 클립'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됩니다.
각 훈련 세션은 사용자는 '변조된 음원'과 '변조되지 않은 원음'을 번갈아 들으면서 어느 주파수 영역에 변화가 생겼는지 판별해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역대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위 사진과 같은 '주파수 그래프'를 통해 시각화된 주파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훈련 세션을 시작하기에 앞서, 사용자는 '세션 설정하기' 페이지에서 아래 항목들을 조절하여 세션의 난이도나 진행 방식을 개인화할 수 있습니다.
'시작 주파수 밴드'는 세션이 시작되었을 때 필터가 적용될 수 있는 '중심 주파수'의 개수를 결정합니다.
'중심 주파수'의 개수나 늘어나면 난이도가 높아집니다.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선택지의 수가 늘어나는 것과 더불어, 보다 인접한 주파수 사이의 미묘한 소리적 변화를 눈치챌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집니다.
'게인'은 음원을 변조시키는 필터의 세기를 결정합니다. '게인'이 높을수록 소리에 더 큰 변화를 주기 때문에 세션 난이도가 낮아집니다.
'Q Factor'는 음원에 가해지는 필터의 대역폭을 결정합니다. 'Q Factor'가 커질수록 필터가 영향을 주는 주파수의 범위가 좁아집니다.
'필터 타입'은 음원에 가해지는 필터의 모양새를 결정합니다.
'피크'는 위로 솟아오른 그래프로 표현되며,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강조'합니다.
반면 '딥'은 아래로 움푹 파인 그래프로 표현되며,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약화'시킵니다.
사진과 같이 '피크'와 '딥' 형태의 필터가 모두 등장할 수 있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임계값'은 사용자의 실력에 따른 난이도 조정을 위한 기준치로 사용됩니다.
'eqTrainer'는 사용자가 제출한 답변의 정답 및 오답 횟수를 기록해두는데, 해당 횟수가 '임계값'에 도달했을 경우 필터에 사용되는 중심 주파수의 개수를 증감시키는 방식으로 난이도를 스스로 조절합니다.
세션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플레이리스트에서 활성화된 음원을 재생하여 훈련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원음' 버튼과 'EQ 적용' 버튼을 번갈아 눌러보면서 음원에 가해진 미묘한 변화를 포착해보세요.
세션 화면의 숫자 선택창을 드래그하거나, 가장자리에 배치된 버튼을 눌러 음원에 적용된 필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필터 그래프는 파란색으로 표현됩니다. 선택을 마치고 나면 화살표가 그려진 버튼을 눌러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프의 정답 여부 및 정보가 화면 상단에 표시됩니다.
세션의 상단바 우측에는 세션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의 정답 및 오답 횟수가 표시됩니다.
상단바 좌측의 화살표 버튼을 누르거나 뒤로 가기를 통해 세션을 끝낼 수 있습니다.